장례식 이후 부모님의 사망과 관련하여 반드시 진행해야 하는 신고 절차와 각종 재산·공과금 처리 방법을 상세히 안내해 드립니다.
📄 필수 신고 및 신청 절차
- 사망 신고: 주민센터에서 사망진단서와 가족관계증명서 제출
- 금융거래 조회: 금융감독원 파인(FINE) 서비스 이용
- 국민연금 정지 신청: 국민연금공단에서 신청
- 건강보험 자격 변동 신고: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신청
- 자동차 및 부동산 명의 이전: 각 지자체 구청 또는 시청에서 신고
- 상속세 신고: 국세청 홈택스에서 온라인 신고 (국세청 홈택스)

🏡 부모님 명의 부동산 처리 방법
- 부동산 상속 절차: 상속인이 있는 경우, 법원에서 상속 등기 신청 필요
- 등기부등본 확인: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에서 조회 가능
- 상속포기 및 한정승인: 빚이 많을 경우, 법원에 상속포기 또는 한정승인 신청 가능
- 임대차 계약 정리: 부모님이 임대인 또는 임차인인 경우, 계약 해지 또는 승계 필요

💡 공과금 및 계약 해지 절차
- 전기, 수도, 가스 해지: 해당 기관에 사망신고 후 계약 해지 신청
- 휴대전화 및 인터넷 해지: 이동통신사 및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에 문의 후 정리
- 보험 및 연금 해지: 부모님이 가입한 보험·연금 상품 조회 후 해지 신청
- 신용카드 해지: 금융사에 사망신고 후 카드 해지 및 미결제 금액 정리

🔎 추가적으로 고려할 사항
- 장례비 지원금 신청 (지자체 및 국민연금공단에서 확인 가능)
- 유언장 및 상속재산 분배 검토
- 국가에서 제공하는 정부 민원서비스를 활용하여 필요한 신고 처리

'상속 세무 부동산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부모님 사망 후 건물(부동산) 상속등기 절차 및 필요 서류 (0) | 2025.03.19 |
---|---|
5억 원 미만 상속세 신고 및 납부 의무 안내 (0) | 2025.03.18 |
쉽게 이해하는 상속세 개념 및 신고 방법 (0) | 2025.03.17 |
부모님 사망 후 부동산 상속 및 2주택 보유 해결방안 (1) | 2025.03.17 |
배우자 없는 부모님 사망 시 상속등기 절차 상세 안내 (0) | 2025.03.1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