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상속 세무 부동산 정보

2025년 기준 상속세율 & 공제 한도 총정리

by 이사부 2025. 4. 1.
요약: 상속세는 고인이 남긴 재산에 대해 국가에 납부하는 세금으로, 2025년 기준으로 세율과 공제 항목이 정해져 있습니다.
이 글에서는 최신 세율 구간부터 상속세 공제 항목, 신고 시 유의사항까지 알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.

가족의 갑작스러운 사망 이후 남겨진 재산에 대해 상속세를 납부해야 하는 상황이라면,
2025년 기준으로 어떻게 세금이 계산되는지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.
이 글을 통해 기본 세율과 공제 항목, 그리고 실제 적용 사례까지 한 번에 확인해보세요.


✅ 2025년 상속세율 구간

과세표준 세율 누진공제
1억 원 이하 10% 0원
1억 ~ 5억 20% 1천만 원
5억 ~ 10억 30% 6천만 원
10억 ~ 30억 40% 1억 6천만 원
30억 초과 50% 4억 6천만 원

✅ 기본 공제 항목

  • 일괄 공제: 5억 원 공제 (모든 상속재산에 적용 가능)
  • 인적 공제: 배우자 5천만 원, 자녀(1인당) 5천만 원
  • 장례비 공제: 최대 500만 원까지
  • 채무 공제: 피상속인이 남긴 채무 인정 시 해당 금액만큼 공제

✅ 실제 적용 예시

상속재산이 6억 원이고, 배우자와 자녀 2명이 있을 경우:
5억(일괄공제) + 5천만 원(배우자) + 1억(자녀 2명) = 총 6.5억 공제
→ 과세표준 = 0원이므로 상속세 없음

✅ 상속세 신고 시 주의할 점

  • 상속 개시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신고 및 납부
  • 부동산 등은 시가 기준 평가 필요 → 감정평가 활용 가능
  • 재산분할 협의서, 금융 조회 내역 등 서류 준비 필수